반응형

왜 '코로나 19'라는 이름을 쓸까요?

국제적으로는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로 명명되어 있는데,

한국에서는 왜 코로나19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메르스'와 같이 '우한 폐렴'과 같은 이름이 대신, 생소한 '코로나19'라고 쓸까요?


세계보건기구(이하 WHO)에서 병명을 짓는 법

WHO는 성명서를 통해 특정 종교나 인종을 포함하여 반발을 초래할수 있고,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관광, 무역, 상업처럼 부당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동물의 불필요한 도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WHO에서 발표한 병명 규칙 

들어가선 안되는 항목 포함하는 항목
인종, 지역, 동물, 음식, 직종 증상(호흡기, 신경학, 설사 등)
지나치게 두려움을 일으키는(불분명한, 치명적인) 단어 심각성 or 계절성(중증, 경증, 겨울, 등)

을 이용하여 COVID-19로 하였습니다.

위키백과에 내용:

2020년 1월 11일, 국제 바이러스 분류학 위원회는 앞서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이름난 바이러스 균주를 부르고자 SARS-CoV-2라는 명칭을 도입했다. 같은 날 일찍이 세계보건기구는 그 바이러스 균주가 야기한 감염증 용어를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호흡기감염증(2019-nCoV acute respiratory disease)에서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라는 명칭으로 대체했다. 2020년 2월 29일경 대한민국에서는 해당 감염증을 코로나19로 부르고 있다.

사스(중증 급성 호흡히 증후군,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와 같이 짧으면서 설명이 가능케합니다.

 

한국의 질병관리본부는 영어식 이름 대신 짧게 ‘코로나19’라는 한글 표현을 정했습니다.


병명을 정하는 가이드:

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163636/WHO_HSE_FOS_15.1_eng.pdf;jsessionid=2D3ACAB4EFA659E7DA31BCE3BB910725?sequence=1

번역한 주된 내용:

표 1

병명에 포함되는 것: 유용한 용어 예시:
일반적인 설명 용어
(임상증상, 생리적 과정, 해부학적 또는 
병리학적 참조/시스템 영향)
· 호흡기, 신경계, 출혈성
· 간염, 뇌염, 뇌병증, 설사, 장염, 면역 결핍, 마비
· 폐, 심장, 위장, 해면상
· 증후군, 질병, 발열, 실패, 결핍, 부족(증), 부전, 감염
구체적인 설명 용어:  
연령대, 환자수 청소년, 소아, 노인, 모성
시대별, 역학, 기원
급성, 아급성, 만성, 진행성, 일시적, 전염성, 선청성, 동물성
심각성 중증, 경증
계절성 겨울, 여름, 계절
환경 지하, 사막, 바다, 해안, 강, 늪
원인 병원체 및 관련 설명 코로나 바이러스, 살모넬라/살모넬라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기생, 새로운 병원체, 변형, 재정렬 하위 유형, 혈청
첫 발견 및 보고된 연도(±월) 2014, 3/2014
임의 식별자 알파, 베타, a, b, I,II,III, 1,2,3

표 2

병명에 포함하지 않는 것: 피해야할 예시
지리적 위치: 도시, 국가 ,지역, 대륙 중동 호흡기 증후군, 스페인 독감, 리프트(Rift) 계곡 열, 라임 병, 크림 콩고 출혈열, 일본 뇌염
사람의 이름 크로이츠 펠트-야곱병, 샤가스 병
동/식물의 강(Class)종(Species) 돼지 독감, 조류 독감, 원숭이 수두, 말뇌염, 마비 성 패류 중독
문화, 인구, 산업 또는 직업 참조 직업, 군단병, 광부, 정육점, 요리사, 간호사
과도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용어 불규명, 죽음, 치명적인, 전염병

 

영상자료:

www.youtube.com/watch?v=6xsQwTgwcFM&ab_channel=MinuteEarth

영어로 되어있지만 영상만 보더라도 이해가는 자료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와 독감의 전염성 차이

왜 면역성이 없는 것일까? (발생원이 다름) youtu.be/GQUCCkHNjN8?t=67

'마스크를 써도 감염되는것 아닐까?'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력이 있는가?' 라는 궁금증을 갖게되었습니다.

 

결국 '코로나와 독감이 무엇이 다를까'의 궁금증이 연도가 바뀌어서야 나타났습니다.

 

네이버에서 찾은 기사들이 너무나 복잡하고 눈 어지럽게 되어 있어서 나름 조사하다가

좋은 영상을 보고 요약해 보았습니다.

www.youtube.com/watch?v=FVIGhz3uwuQ

영상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서 영상시간의 '1분30초', '3분45초', '3분'의 영상을 기준으로 편집하였습니다.


1. 전염성

1번에 전염시키는 수치입니다.
독감: 1.3명

코로나19: 2-2.5명

 

독감의 전염성은 코로나19보다 낮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전염이 10번 발생할 경우,

독감: 56

코로나19: 2047

 

눈대중으로 40배 차이가 나네요.

 

하지만 독감은 면역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어서 코로나19보다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동영상: youtu.be/FVIGhz3uwuQ?t=91

2. 면역성

독감: 있음

코로나19: 없음

새로운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면역성이 없습니다.

 

면역자의 차이에 대한 단순 그림입니다.

 

ㅁ: 면역자

ㅇ: 감염자

ㅁㅁㅁㅁㅁㅁㅁㅁ

ㅇㅇㅇㅇㅇㅇ

ㅇㅇㅇㅇㅇㅇ

ㅁㅁㅁㅁㅁㅁㅁㅁ

 

면역자로 둘러쌓이면 독감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독감의 경우, 다음날 아프기 때문에 집에서 쉬거나 병원에 갑니다.

코로나19는 경우가 다릅니다.

 

(동영상: youtu.be/FVIGhz3uwuQ?t=224

 

3.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무증상 감염)

독감: 다음날

코로나19: 약 2주후

독감과 달리 아픔을 느끼는 시기가 늦어져, 많은 사람에게 전염시킵니다.

 

ㅁ: 무증상, ㅇ: 증상

ㅁㅇ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ㅇ

 

(동영상: youtu.be/FVIGhz3uwuQ?t=183

 

자신의 감염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합니다.

 

또한 면역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면역자와 같은 벽을 만듭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정말 효과가 있을까? 싶어서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동영상: youtu.be/mD-P6o8YFiU?t=8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