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델링

- 오목을 함에 있어, 사람의 사물 구분을 하려고 노력한다.
- 각 사물은 최대한 의존성을 갖지 않도록 한다.
- 처음부터 완벽한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는다. 

1. 돌순번 : 1base로 하며, 최대 19 x 19까지 가능한 수를 갖는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돌순번

StoneCount

int count


2. 돌 : 색깔과 순번을 갖는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PROPERTY_2

 돌

Stone

StoneColor color

StoneCount count


3. 돌색깔 : 흑, 백으로 두가지의 색을 갖는다.

MODEL_NAME

MODEL

COLOR_1

COLOR_2

 돌색깔

StoneColor

StoneColor  BLACK

StoneColor  WHITE


4. 오목판 : 좌표를 갖는다.

- 착점 시 해당 Point가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 순번이 필요할 지 의문.

MODEL_NAME

MODEL

PROPERTY_1

PROPERTY_2

 오목판

Board

Point[] point

StoneCount


5. 포인트 : 좌표

MODEL_NAME

MODEL

PROPERTY_1

PROPERTY_2

좌표계

Point

Integer x

Integer y


6. 플레이어 : 돌의 착점을 선택한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PROPERTY_2

PROPERTY_3

플레이어

Player

StoneColor

StoneCount

Point


7. 기보 : 돌의 순서를 좌표별로 저장한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기보

Recoder

Point[]


8. 규칙 : 게임의 규칙을 설정한다.

- 오목 판의 크기, (일반룰, 렌주를, 오프닝 렌주룰)

MODEL_NAME

MODEL

RULE_1

RULE_2

규칙확인

Rlue

NORMAL

RIF


9. 타이머 : 착수의 시간을 제한한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PROPERTY_2

타이머

Timer

Date player1

Date player2


10. 경기방법 : 3가지 경기 방법을 갖는다.

MODEL_NAME

MODEL

GAME_TYPE_1

GAME_TYPE_2

GAME_TYPE_3

경기방법

GameType

FREE

DESIGNED

OPEN

11. 규칙확인 : 착점시 규칙 위반 여부를 판단한다. 

- 룰에 따른 착수의 위치를 확인한다. (3x3, 3x4, 렌쥬)

MODEL_NAME

MODEL

PROPERTY_1

부심

Referee

Recoder


12. 승자판단 : 오목이 완성되어있는지 확인.

- 오목이 이루어 졌는지 확인한다.

MODEL_NAME

MODEL

PROPERTY_1

주심

Judge

Point(Recoder[LAST_INDEX])




반응형

'my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D - 오목게임  (0) 2018.01.18
돌 선택 알고리즘  (0) 2017.10.15
오목 만들기 - 틀  (0) 2017.10.06
반응형

기초적인 selecting


selector 의 :visible, :hidden, :checked등으로 활성화 비 활성화를 선택하기 쉽다.

또한

$(#somId :not(.active) 와같이 비활성화를 하는 것도 괜찮다. 


form이나 css등의 property값을 이용할 수 있어서 너무 편하다.


each의 경우 도중에 retrun이 가능하다.

return 일경우 continue;와 동일하게 작용하며

return false;일 경우 break로 for문에서 벗어나게 된다.


function(idx), function(idx, ele) 로 주로 사용한다.


속성값은 [ele="value"]로 검색 가능하다.


select를 이용할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것이 조금 아쉽다.


수도클래스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고,

#는 ID

.은 class

[]은 속성




반응형
반응형

2015/12/14 ~ 2016/08/05

usingTool : eclipse, STS, IntelliJ, sublimeText, Atom

sourceTree, MongoRobo, Sequel Pro, filezilla Desh,

Jira, Gitter, slack, everNote


review : {


eclipse : 너무 무겁다, 버벅임 때문에 사용하기 번거로웠다.


,STS : 무난하게 사용했던 툴 특히 Spring boot가 매력적이였다. 또한 spring,io의 guide를 실행해 보기에는 최적환경을 제공한다.


,intelliJ : 현재 나에게는 baboJ로 불리고 있지만, 충분히 사용하기 편하다, 내컴퓨터에서는 왜인지 모르게 느리지만... 그래도 로컬 history나 애노테이션을 보기 편한 면과,

js와 다양한 추천등 참 사용하기 편리하다.


,sublimeText : 다중 선택이 너무 편해서 많은 반복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정규 표현식 공부에 너무나 편하다.


,Atom : 너무 느려서 좀 그렇지만 화면을 바로 지원해주는 플러그인이 너무 마음에 든다.


,sourceTree : Git을 관리하는데 너무나 유용하다. 커맨드 모르는 상태에서도 참 유용히 사용했다.


,MongoRobo : js를 연동할 수 있다는데 정말 그러면 얼마나 편할지 모르겠다. 그래도 지금은 살짝 불편한 면들이 없지 않아 있다.


,Sequel Pro : query의 부담감이 너무 없어졌다. index등 너무 편하다.


,filezilla : UI가 맘에 든다.


,Desh : 돈주고 구매한 첫번째 아이템인데 참 편리하다. 인터넷 창을 열 필요없는 편리함.


,Jira : 애자일이 어떤지 잘 알겠다. 참 이슈관리가 편하다.


,Gitter : 채팅으로 개발자라면 한번 쯤 사용할 만 하다. 외국인들이 많다.


,Slack : 카톡과는 다르게 가볍다.


everNote : 질리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예저보다 속도가 빨라지고, 그림에 있는 글자까지 인식하는 놀라움!




반응형

+ Recent posts